부족한 별자리 Fragile Constellation, 2023
: 저항의 자손들에게
사진의 역사가 담긴 책을 들여다보면서 처음으로 동요했던 순간은 최초의 셀프 포트레이트라고 불리는 이폴리트 바야르 (Hippolyte Bayard, 1801~1887)의 사진을 보았을 때다. 그 사진은 이폴리트 바야르가 자신이 최초의 사진법을 선점하지 못한 것에 대한 억울함을 호소하는 사진이다. 이폴리트 바야르는 ‘알부민 글라스 온 타입’이라는 달걀 흰자를 이용한 종이 사진법을 연구하고 완성하였으나 정부의 권유로 발표를 미뤘다. 그 사이 프랑스 정부와 다게르가 은판 사진법인 ‘다게레오타입 (daguerreotype)’을 공표했고, 다게르가 최초의 사진이라는 온전한 명예와 권력을 차지한다.
‘당신이 보고 있는 시체는 방금 본 사진의 발명가인 바야르 씨의 시체입니다. 내가 아는 한, 이 지칠 줄 모르는 실험자는 그의 실험에 약3년 동안 몰두해 왔습니다. 다게르 씨에게 관대했던 정부는 바야르 씨를 위해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말했고, 불쌍하고 가련한 이 신사는 스스로 익사했습니다. 오, 인간의 삶, 그 변덕이여…! 그는 며칠 동안 영안실에 있었지만 아무도 그를 알아보지 않았습니다. 신사 숙녀 여러분, 이 신사의 얼굴과 손이 썩어가기 시작했으니, 냄새가 두렵다면 지나치는 게 나을 겁니다.’
바야르는 사진 안에서 죽음을 연기했고 그 뒤에 위와 같은 글을 덧붙였다. 나는 그가 배우가 되어 죽음을 연기하는 것도 좋았고, 항의하는 마음을 찍었는데도 불구하고 초연하고 인자한 표정을 짓고 있는 것도 좋았다. 제3자가 되어 마치 희곡과 같은 글을 적어 내린 것도 무척이나 좋았다. 전쟁 사진이나 고발 사진을 찍은 사진가들이 영웅처럼 각광받았지만, 내겐 자신의 남루함을 사진으로 표명하고 떠나버린 이폴리트 바야르가 더욱 반짝였다. 그가 사진 안에서 죽기로 결심하기까지 얼마나 비참한 시간을 보냈을지 나는 가늠할 수 없다. 그는 죽음이라는 형식을 사진에 넣을 수 있다는 것을, 그 형식으로 나를 잠시간 훼손하면서 최대한으로 진실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 사람이다. 나는 지금도 이폴리트 바야르가 내게 보여준 저항의 추동을 믿는다.
The first time I was moved while looking through a book on the history of photography was when I saw the photo of Hippolyte Bayard (1801-1887), which is called the first self-portrait. It is a photo in which Hippolyte Bayard complains about not having been able to pioneer the first photography method. Hippolyte Bayard studied and perfected the paper photography method using egg white called ‘albumin glass-on-type’, but postponed the announcement due to the government’s recommendation. In the meantime, the French government and Daguerre announced the ‘daguerreotype’, a silver plate photography method, and Daguerre took full credit and power for being the first photographer.
‘The body you are looking at is that of M. Bayard, the inventor of the photograph you just saw. As far as I know, this tireless experimenter has been engrossed in his experiments for about three years. The government, which had been generous to Mr. Daguerre, said that it could do nothing for Mr. Bayard, and the poor, pitiful gentleman drowned himself. Oh, the caprice of human life! He had been in the morgue for several days, but no one recognized him. Ladies and gentlemen, this gentleman’s face and hands have begun to rot, so if you are afraid of the smell, you had better pass by.’
Bayard played death in the photograph and added the above text afterward. I liked that he played death as an actor, and that he had a detached and kind expression despite the protest he had taken. I also liked that he wrote the text as a third party, almost like a play. Photographers who took war or accusatory photographs were celebrated as heroes, but to me, Hippolyte Bayard, who expressed his own wretchedness through photographs and left, was even more dazzling. I cannot imagine how miserable a time he must have had before he decided to die in the photograph. He is the one who showed me that I can put the form of death into a photograph, that I can be as truthful as possible while briefly disfiguring myself with that form. I still believe in the drive to resistance that Hippolyte Bayard showed me.
부족한 별자리 전시 전경 Frigile Constellation Solo exhibition Installaiton, AnnPaak space, 2023
J와의 대화, 번영의 사원
S와의 대화, 눈동자
나-아-가는 길